2023.10.09 ~ 18 통영과 섬 여행 2 - 통영 2

2023. 10. 28. 23:39국내 여행

통영 한산대첩광장

통영 여객터미널 부근에 한산대첩을 기리는 광장에 해상 전투 장면의 조형물이 있고

지하에 홍보관이 있다.(지하는 패스)

판옥선 위에 전투 장면

신에게는 12척의 전선이 남아 있는데 죽을 힘을 내어 항거하면 그래도 해낼 수 있습니다.

전선이 비록 적지만 미천한 신하가 죽지 않는다면 왜적이 감히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

통영 강구안 보행교
보행교에서 강구안
보행교에서 통영항

남망산 조각공원

남망산에 공원을 조성하여 조각품을 설치하고 산책길을 만들어 걷기 좋고 바다 풍광의 조망이 좋다.

야간에는 조명을 설치하여 "디피랑"으로 관람료를 받음.

남망산공원에서 내려다본 통영항
남망산공원에서 내려다 본 강구안
남망산공원 정문
조각품들의 위치가 번호로 표시되어 있으나 갈림길에서 표지가 없어 찾아가기 쉽지 않았어요.
숲길이 좋아요
Antony Gomley(영국) 출산(Birth) 1997년 작품

역동적이며 안정적인 두 개의 인체의 형상을 결합시킨 철주물 조각

통영 출신 시인 김상옥(1920~2004) 시비
통영 출신 시인 유치환 시비
통영 최초의 서양화가 김용주(1910~1958) 기념화비
통영시민문화회관
남망산공원에서 통영항
남망산 산책로(야간 조명등이 설치)
이충무공 동상
이충무공 한산대첩비
어린이용 그물다리도 있고
꽃 조형물도 있고(좀 촌스럽지만)
야간 조명등이 예뻐요
심문섭(한국) 은유-출항지(Metaphor-the Port) 1997년 작품

출항지의 빈배와 만선의 꿈을 안고 미지의 지점을 향해 끝없이 달려가는 

인간의 여정을 바다와 배의 이미지로 담아내고 있는 조각

Tony Oursler(U.S.A) 감시초소(A Guard Post) 1997년 작품

사람의 적나라한 얼굴 모습을 담은 비디오와 그 얼굴들이 내뿜는 이야기(음향)을 결합한 비디오 설치 조각

남망산공원에 양궁장
Eric Dietman(스웨덴) 최고의 순간을 위해 멈춰서 있는 기계 1997년 작품
Jesus Rafael Soto(베네주엘라) 통과 가능한 입방체 1997년 작품

관람객이 이 공간속으로 걸어들어가 작품에 직접 가담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체험한다는 의미

Gilles Touyard(프랑스) 잃어버린 조화/몰두 1997년 작품

연결된 여러 토막의 통나무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움직임을 보여주는 조각으로

인간의 주체성과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부터 시작되는 이 작품은 인체의 반복되는 움직임이 

생명의 표현이라기 보다는 주체가 상실된 수동적이고 무의미한 움직임일 수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김영원(한국) 허공의 중심 1997년 작품
위안부 피해자 기념상
설치 조각품 목록
통영시민문화회관
Ito Takamichi(일본)  4개의 움직이는 풍경 1997년 작품

하늘과 바다와 대지, 그리고 인간과 인간들이 수직으로 만나는 지점을 상정한 움직이는 조각

 

서포루(서피랑 마을)

해방후 집창촌이던 서피랑 마을이 쇠락하자 2007년 동피랑마을이 벽화마을로 변신한 것에 자극을 받아

2013년 주민들이 곳곳에 예술작품을 설치하며 활기를 되찾아 관광 명소로 됨.

정상에는 서포루가 있어 통영 시내 조망이 좋고 석양이 아름다워 촬영 명소로 이름나 있다.

통영 시내에 시인 김춘수상
서피랑마을 골목길
서피랑마을에서 통영항
벌써 코스모스가
서피랑 등대
서포루
"돌아와요 충무항에" 노래 비

통영 출신의 작사가, 가수인 김성술(1946~1971)이

25세 때 1970년 본인이 작사하고 부산 출신의 작곡가 황선우가 작곡한 "돌아와요 충무항에"라는 노래를 발표하고

다음해인 1971년 대연각 화재로 요절한다.

이후 작곡가 황선우가 "돌아와요 부산항에"로 개작하여 조용필 등이 취입한후

1976년 조용필이 트로트 록으로 리메이크하여 국민가요가 됨.

서포루 후면
서포루에서
서포루 노을
서포루 피아노 계단(밟으면 소리가 나요)
서피랑마을 조형물

청마문학관

2000년에 통영 출신의 시인 유치환의 생가를 이곳에 복원하며 문학관도 설립함.

1945년 통영 출신 예술인들
1950년을 전후로 통영 문화의 르네상스 시기로 유치환을 회장으로 윤이상,전혁림,김상옥,정윤주,김춘수 등이 통영문화협회를 결성하여

한글강습회, 농촌계몽운동, 연극공연 등 다채로운 문화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사진에 있는 글)

유치환 시인 유물
유치환 시인 생가(복원)
생가에서 약국을 했나봐요(유약국)
무슨 꽃인지?

통영 이순신공원

충무공의 애국애족 정신을 기리고 거룩한 호국의 얼과 뜻을 기념하기 위한 공원으로

한산대첩의 전승지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하여 바다 풍광의 조망이 좋고

산책로가 잘 가꾸어져 있다.

이순신공원 입구

 

거북선의 돌조각품
한산대첩 바다(조형물이 어울리지 않네요)

 

해안을 따라 만들어진 산책길
이층무공 동상(필사즉생 필생즉사)
한산대첩 전승지
가로등 모양이 새모습인지 거북선 모습인지?
통영해상순직장병 위령탑

통영 RCE 세자트라 숲

자연생태공원에 교육, 연구개발, 네트워크의 3가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 시설.

이 표지를 보고 숲길을 걸었어요.(1.4Km 정도)
RCE 세지라트숲으로 가는 숲길
RCE 세자라트숲에는 가지않고 선촌마을에서 1.4Km를 걸어 마늘고개에서 버스를 타고 돌아왔어요.
통영 선촌마을

동피랑마을(벽화마을)

통영 중앙전통시장 뒤쪽 언덕에 있는 마을로 

피랑은 벼랑, 절벽을 뜻하는 순수 우리 말로 동쪽에 있는 가파른 언덕이라는 뜻.

2007년 동포루를 복원하고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산재해서 난립한 집들을 철거하려 하였으나

이를 반대한 시민들과 시민단체가 "동피랑 색칠하기 벽화 공모전"을 열어 전국에서 18개 팀이

벽화를 그리기 시작하여 벽화마을로 변모하였다.

강구안에 있는 조각품
동피랑마을 입구
안내도에는 벽화가 번호로 되어 있으나 갈림길에서 표지가 없어 다 못봤어요.
동포루
통영 중앙시장
시장 내부가 상당히 깔끔하네요
통영 여객터미널 부근에 있는 서호시장
통영에는 한집 건너 꿀빵집과 충무김밥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