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8. 24. 15:09ㆍ국내 여행
친구여,
지난 8월21일(화) ~ 22일(수) 1박2일로 절친과 셋이서 청남대와 법주사 세조길을 다녀왔네.
올해 살인적인 무더위가 말복을 지나면 좀 수그러들 것이란 생각으로 계획을 해서
첫날은 아침에 비를 뿌려 좀 수월하게 다녀서 택일의 명인으로 칭찬받았지만
다음 날은 법주사옆 세조길이 바람이 좀 불어오는 숲길인데도 땀이 줄줄 흘러 눈총 좀 받았어요.
역시 더운 날은 멋진 경치와 유서깊은 유적도 눈에 들어오지 않고
틈만 나면 앉아 아이스크림만 찾게 되서 집에 가만히 있는게 상책이네요.
그래도 잘 정돈된 청남대와 잘 만든 세조길은 걸을만 했어요.
완전 숲속에 있는 속리산 말티재자연휴양림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는 재미도 쏠쏠해요.
청남대
1983년 ~ 2003년 20년간 대통령 공식 별장으로 약 56만평의 면적에 각종 휴식 시설이 있음.
10여만 그루의 조경수와 35만여의 야생화가 있고
각 대통령의 이름을 단 20분 ~90분 거리의 다양한 산책로가 있어 벚꽃철이나 단풍철에는
좋은 나들이 장소이다.
우리는 본관 ~ 전두환대통령길 ~ 음악분수 ~ 대통령기념관을 1시간 20분 남짓 걸었어요.
이승만 대통령부터 이명박대통령까지
2003년 청남대 개방 기념탑으로 당시 청원군 문의면 32개 마을 주민수 와 같은 5,800개의 돌로 쌓음
반송
헬기장
1.5Km(30분)의 산책로
오각정에서 대청호
윤보선대통령 동상
대통령기념관
이승만대통령 동상
음악분수
최규하대통령 동상
속리산 말티재자연휴양림
말티재 숲속에 자리한 국립휴양시설로 16동의 숲속의 집과 산책로 등산로 등이 있다.
말티재자연휴양림 아침
속리산 정2품송(천연기념물 103호)
세조가 속리산으로 행차할 때 노송의 가지가 임금이 탄 연(가마)에 걸리자 가지가 스스로 위로 올라가
임금이 기특하게 생각해서 정2품의 벼슬을 하사했다고 함.
수령이 800년 정도로 추산되어 그동안 많이 훼손됐으나 관리를 잘하고 있어 본래의 모습을 보이고 있음.
세조길
법주사 입구에서 세심정까지 2.4Km의 숲길로 속리산계곡,저수지의 경치를 즐기며
마포,목제벽돌,나무데크로 걷기 편한 산책로.
마포를 깔았어요
목제벽돌길
위의 물은 철분이 포함돼 주황색
눈썹바위로 세조가 바위밑 그늘에 앉아 쉬었다고 함
법주사 수원지
목욕소
세조가 목욕하여 피부병을 고친 곳
세조길 종점(세심정)
세심정 휴게소
세심정터는 속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에서 흘러내린 세 물줄기는 남한강,금강,낙동강의 발원수로
한반도 기운의 중심이 되는 산이다.
이 터는 삼국시대부터 이 산의 기운을 알고 공부하러오는 이들에게
음식과 휴식을 제공하였다고 한다.
해물파전과 솔잎막걸리
함께 나온 김치는 시어꼬부라졌고 막걸리도 솔잎향이 약간 역겨웠어요.
아이고 힘들어라!
법주사
553년(진흥왕 14년) 의신조사가 창건한 설이 있으나
776년(성덕왕 19년) 진표율사의 제자 영심스님이 창건하여 미륵신앙의 중심도량이 된 것이 정설.
918년(고려 태조 1년) 왕사인 증통국사가 중창.
이후 고려 문종의 5번째 왕자인 도생승통이 주지로 있는 등 고려의 중요 사찰이었음.
1363년(공민왕 12년) 왕이 절에 들렸다 양산 통도사의 부처님 사리 1과를 법주사에 봉안토록함.
현재 이 사리탑이 능인전(적멸보궁) 뒤편에 있음
보통 적멸보궁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으나 능인전에느 삼존불이 있고 뒤편에 창을 내어 사리탑이 보임.
임진왜란시 승병의 본거지였던 법주사와 산내 암자가 소실되어
1626년(인조 4년) 벽암각성선사가 중창
벽암각성선사는 1624년 3년동안 남한산성을 축성함.
2018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가운데가 석련지(국보 64호)
통일신라시대의 석조로 지대석 위에 올려진 반개한 연꽃이 있는 화강석 수조
가운데 문 열린 곳이 능인전(적멸보궁)
그 뒤에 사리탑이 있음
捌相殿(국보 55호)
진흥왕때 창건 초기에 건축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
1606년(선조 38년) ~1626년(인조 4년) 사명대사가 중건한
국내 유일의 목조 5층탑(22.7m)으로 내부 벽면에 부처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가 있어 팔상전으로 칭함.
법주사 창건시 건립된 동양 최대의 33m 청동미륵불상이었으나
대원군이 당백전을 주조하기 위해 훼손.
1939년 미륵불상 재건을 시작하였으나 조각가가 요절하며 중단.
1963년 ~ 1964년 박정희 대통령 희사로 시멘트불상 완공.
1986년 ~ 1989년 청동미륵불상으로 재건
2000년 ~ 2002년 개금불사(불상에 새로 금칠하는 의식)
쌍사자 석등과 대웅전 사이에 사천왕 석등(보물 15호)
대웅보전(보물 915호)
응향각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 1417호)
향로를 받쳐든 보살상으로 창건 초기 작품으로 추정
쌍사자 석등(국보 5호)
법주사 창건 초기 작품으로 화강암 석등
마애여래의상(倚像)
보물 216호로 고려시대 작품
템플스테이 숙소
템플스테이 후면
여행의 또 하나의 즐거움 먹거리
첫날 점심으로 청주 맛집 강서 추어탕에서 장어구이와 추어탕을 좀 거하게 하고
석식으로 휴양림에서 족발,비비고 두부김치찌개,비비고 썰은 김치,흑미 햇반
이틑날 아침은 오뚜기 미역국,목우촌 비엔나 소세지,비비고 썰은 김치,흑미 햇반
세조길 세심정 휴게소에서 간식으로 먹은 해물파전,솔잎 막걸리가 맛은 별로 였지만 배가 불러
돌아오는 길에 이천 휴게소에서 시원한 냉모밀로 늦은 점심을 했어요.
'국내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9,11 ~ 12 마곡사,수덕사 1 (0) | 2018.09.15 |
---|---|
2018,09,11 ~ 12 마곡사,수덕사 2 (0) | 2018.09.14 |
2018,07,09 ~ 11 강릉 1 (0) | 2018.07.17 |
2018,07,09 ~ 11 강릉 2 (0) | 2018.07.16 |
2018,07,06 강화도(춘초) (0) | 2018.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