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2. 2. 16:46ㆍ해외 여행
둘째 날 曲阜 |
||||||||||
춘추시대 노나라의 수도로 공자,증자,자사(공자의 손자),맹자등 유학 성인들의 고향. | ||||||||||
三孔이라하여 孔廟,孔府,孔林이 있음. |
||||||||||
孔廟(공자의 사당) |
||||||||||
공자(BC551~BC479)의 제사를 위해 사후 이듬해인 BC478년에 |
||||||||||
노哀公이 공자의 옛집 3칸으로 사당을 창건. |
||||||||||
한나라 이후 유교를 국교로 하여 공자가 관련된 것을 신성시하고 |
||||||||||
자신의 덕을 과시하려고 각 왕조별로 증축을 거듭하다 |
||||||||||
1499년(명 홍치12년) 대화재로 대부분 소실되어 그 후 재건 되었음. |
||||||||||
청 옹정제의 명으로 대대적으로 보수,확장하여 황궁의 격식을 갖춘 사당이 되었다. | ||||||||||
북경의 자금성,태안의 垈廟,승덕의 피서산장과 더불어 중국 4대 고건축군의 하나임. |
정식 입구는 남문이나 이문은 동문임
영성이란 고대 중국인들이 학문의 수호성으로 숭상했던 별
금성옥진이란 맹자가 공자를 칭송한 말로 모든 학문은 공자로 부터 시작되고 끝난다는 의미
황궁격식의 건물 배열
홍도문은 명태조 주원장이 건립하고 이름은 청 옹정제가 붙임(도가 사람을 넓힌다는 뜻)
규문각은 1098년에 창건,1191년에 재건된 중국 10대 명루중 하나이며 황제가 하사한 서적이나 글씨를 보관하던 도서관이나 문화대혁명시 문서는 다 소실되고 건물만잔존
지금은 공자의 일대기가 그림으로 전시됨
역대 황제가 공묘를 방문할 때 자신의 공덕을 남긴 53개의 비석을 13개의 비정에 보존함
공자가 직접 심은 檜나무(전나무?)로 수차례 죽고 새싹이 나는 것을 거듭하다
현재 것은 청 옹정제(1732년)때 다시 살아난 것
공자가 살구나무아래에서 제자를 가르친 장소에 세운 단
공자의 신위를 모신 공묘의 본전으로 남송 휘종황제가 편액을 하사하고 현재의 현판은 청 옹정제의친필로
황궁에만 사용하는 노란색 치장을 한 건축물로 북경 자금성 태화전,태산 대묘 천황전과 함께 중국 3대 전각으로 꼽힘
중앙에 공자의 신상과 신위를 모시고 좌우에 제자 4聖을 합사함
유학의 5대 성인 공자(至聖),안자(復聖),증자( ),자사(述聖),맹자(亞聖)
기둥이 二龍戱珠(두 마리의용이 여의주를 가지고 노는)의 아름다운 돌기둥임
공자 부인 올관(兀官)씨의 신위를 모신 곳
공자의 일생에 관한 고사를 그린 총120폭의 돌조각인 성적도가 있다
진시황의 분서갱유때 벽속에 공자의 서적을 숨겨 후대에 발견됨
용모양의줄기를 가진 나무
공묘에 고대로 부터의 1044개의 비석이 있어 비석박물관으로도 손색이 없음
|
孔府 |
|||||||
공자의 후손들이 살던 저택 겸 관공서로 463개의 방이 있음 |
대당은 공적인 업무를 보던곳
친지,친척을 접견하던 객청
뒷 건물로 가는 길이 한사람이 지나가기에도 좁음
孔林 |
|||||||||
공자와 10만명이 넘는 후손들의 묘가 있는 세계 최대의 가족 묘원(60만평) |
공자의 제자인 자공이 심은 나무로 낙뢰로 그루터기만 남아있음
공자의 손자인 子思(중용을 쓴 유학의 5대 성인)의 묘
묘비에 大成至聖文宣王墓 (왕의 칭호를 사용)
공자 후손들의 묘
'해외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06.23~27 일본 북해도 3 (0) | 2013.06.28 |
---|---|
2012.11.26~29 중국 청도,곡부,태산 1 (0) | 2012.12.03 |
2012.11.26~29 중국 청도,곡부,태산 3 (0) | 2012.12.01 |
2012.07.03~07 황산,항주,상해 1 (0) | 2012.07.10 |
2012.07.03~07 황산,항주,상해 2 (0) | 2012.07.09 |